지난 주에는 마가복음 말씀을 pbs 했습니다. 예수님께서 포도원비유를 하시는 유명한 말씀입니다.  주인이 포도원을 짓고 떠났는데 주인이 소출의 일부를 받기 위해 사람을 보내지만 악한 소작농들은 보내는 사람들을 때리고 능욕하며 심지어 주인의 아들을 죽이는데 주인이  돌아와서 그 악한 소작농들을 진멸하신다는 비유의 말씀이 셨습니다. 그리고는 건축자의 버린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실 것이라는 말씀이었습니다.

  첨에는 본문이 참 막연하게 생각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PBS를 통해 관찰 해석 적용을 하면서 저에게 주시는 이 땅 교육을 향한 하나님의 경고의 메세지가 담겨 있었습니다.
  전문맥에서 예수님은 성전을 정화 하시고 이에 대제사장과 장로들은 네가 무슨 권한으로 이런일을 하느냐고 따지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러므로 본문은 당시 대제상과 장로들을 향한 메시지이고 자신의 신분을 망각한 소작농 처럼 자신의 본분을 망각한 교만한 그들을 향해 던지는 경고의 메세지 였습니다.

  본문을 보면서 우리의 포도원은 어디일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우리의 포도원은 분명 학교일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학교를 만드시고 일구시고 망대를 세우신 분입니다. 이 나라 교육의  주인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교사된 우리에게 그 포도원을 맡기셨습니다. 주님은  아이들을 선지자로 보내시며 우리에게 소출을 달라고 열매를 달라고 말씀하시는것 같았습니다.  혹시 우리는 이 포도원의 소출을 주님께 드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갈취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봅니다.
  주님은 아이들을 통해 연약한 자를 돌보라고, 소외된 아이들을 돌보라고, 부조리함을 척결하라고, 잘못된 세계관을 바로잡으라고 자살로, 왕따로, 폭력으로 메세지를 보내지만 이 나라와 우리는 다 무시하고 무관심하고 다른 것에 정신이 팔려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공교육이라는 미명아래 예수님은 건축자의 버린돌이 되어버린지 오래 입니다. 우리는 무엇을 했나?! 우리 역시 무관심과 무기력함으로  함께 선지자를 죽이고, 예수님을 교육의 영역에서 버린것은 아닌가?  
  우리는 도대체 어떤 열매로 주님께 소출의 일부를 드릴것입니까?
말씀은 우리에게 경고하고 계신다고 봅니다.
  그러나 10절 11절의 말씀이 저는 희망의 메세지 처럼 들렸습니다. 선지자된 아이들의 음성에 귀를 기울이고 이 땅 교육을 위해 기도할 때 우리 주님이 새 학교의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실것입니다.

2002년에 대비 청소년의 정신질환율은 45%가 증가했다고 합니다. 쉼터와 같은 수용시설에 더 이상 아이들을 수용할 공간이 없다고 합니다. 이젠 아이들이 왕따로 자살하는 일이 더 이상 뉴스 거리가 되지 못합니다.
  이대로 있어선 안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대로 죽어가는 아이들의 울부짓음을 무시하고 있다간 주님이 분명 이 나라 교육의 판을 한 번 뒤짚어 엎으실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포도원을 맡겼던 소작농을 진멸하실 때가 가까와 온 것 같습니다.
  이나라 교육 시장, 교원 시장에 일대 큰 바람이 불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말씀을 적용하면서 실천할 사항으로 생각한 것이 DPM입니다.  IVF 학생 시절 매일 아침 기도 운동으로 8시에 모여 기도하던 모임을 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실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난 월요일 부터 3명의 아이들과 학교 지하에 모여서 기도하기 시작했습니다. 학교에 왕따 당하는 아이들 왕따하는 아이들을 위해서,교장, 교감선생님을 위해서, 각 반 선생님을 위해서 기도합니다.

  아직은 아이들의 기도도 서툴고 저의 인도도 서툴지만 하나님 우리 기도를 모른척 하지 않으시리라 믿습니다.
  말씀이 저의 삶을 바꿔놓는 것을 자주 봅니다. 그래서 PBS는 놓칠 수 없는것 같습니다.  말씀을 통해 시작된 이 기도모임이 끊이지 않도록 기도해 주십시오! 기도모임을 통해 아이들이 그리고 제가 그리고 토평초교가 그리고 이 나라가 변화되길 소망합니다.  그리고 각 학교에서 이 DPM 운동이 시작되길 소망해 봅니다.

  은혜주신 말씀 간단히 나누고 싶었는데 길어졌습니다. 오타도 많을 텐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회 수 :
545
추천 수 :
12 / 0
등록일 :
2007.10.24
22:58:19 (*.202.185.111)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7243/36d/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7243

김정태

2007.10.25
16:24:40
(*.242.29.147)
매일 아침 학교 지하실에서 드려지는 아침기도회가 우리 교육을 바꾸는 밑거름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귀한 고백, 잘 읽었습니다. 승호샘! 파이팅~

오승연

2007.10.25
23:39:34
(*.8.83.181)
역시 승호샘~^^ 같은 학교에 근무했던 때가 문득 떠오르네..
하나님 안에서 늘 열정이 가득했던...^^
하나님께서 01년도의 승호샘으로 회복시키실 것을 믿어~^^
성령 하나님께서 승호샘을 늘 도우실꺼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sort 비추천 수 날짜
3238 Re..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883     2001-10-29
저도 그 꽁트를 읽었습니다. 꽁트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무엇인지는 알겠으나 선생님이 지적하신 그 부분은 정말이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안그래도 대중문화가 여성을 성적 상품화하는 것이 그 수위를 넘고 있고 또 청소년들을 비롯한 대중들에게 무방...  
3237 Re..저도 충격 885     2001-10-30
강영희 선생님 찬찬히 읽어서 글을 올려주신 것 감사해요. 꽁트는 적절한 소재로 짧은 글 속에 주제가 분명히 드러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주제는 아이들의 행동을 섣불리 판단하지 말라는 내용을 전달하고 싶은 것 같았어요. 하지만 소재가 된 사건이 보편...  
3236 좋은 교사를 읽으며 화가난 내용 909     2001-10-26
오늘 좋은 교사 잡지 11월호를 읽으며 유익한 내용들을 생각하며 읽고,또 전형일선생님에 관한 내용들도 관심깊게 읽으며 이모저모로 수고하시는 전선생님과 한 tcfer라는 사실에 뿌듯한 마음도 가졌습니다. 그런데 꽁트를 읽다가 제 다혈질적인 성격에 금새 "...  
3235 아래글에 리플을 달아주세요. 867     2001-10-27
27이라는 조회회수를 보며 이글을 읽으신 분들이 많이 계심을 알겠네요. "좋은 교사" 11월호 아직 읽지 않으셨나요? 콩트를 꼭!!!읽어보시고 제 글에 리플을 달든지 선생님들의 생각을 새로 써주십시오. 이글에 대한 모니터링을 해서 좋은 교사로 보내려고 합...  
3234 여자는 다 그래 1016     2001-10-27
어제 두 가지의 약속을 뒤로 미루고 오랫만에 오페라를 보러갔습니다. 서울에 올라오기 전까지 1년에 40-50여회의 음악회를 갔고 오페라가 있으면 특히 빠지지 않고 찾아갔었는데 서울에 올라온 이후로 거의 잊고 지내고 있었습니다. 한 때는 오페라의 아리아...  
3233 Re..저희 결혼합니다. [1] 1046     2001-10-28
두 분의 혼인을 축하합니다. 특히 tcf 안에서 맺어진 혼인이기에 더욱 반갑고 기쁩니다...혼인 생활은 이인삼각 경주, 음식점에 가서 음식을 사 먹는 것이 아니라 두 분이 음식을 같이 만들어 먹어야 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혼인은 두 사람만의 ...  
3232 저희 결혼합니다. [2] 1111     2001-10-27
저희들 결혼합니다. 많은 분들께 청접장을 드리고 싶지만, 일일이 찾아뵙기가 어려워 이 글로 대신합니다. 1. 일시 : 11월 3일 토요일 오후 4시 30분 2. 장소 : 구미시 금오웨딩 3. 찾아오시는 방법 (1) 승용차 : 구미 IC에서 나온후 신호등에서 좌회전하여, ...  
3231 드디어 ..이제.. 시작합니다. [1] 844     2001-10-27
우리반 아이들과 성경공부를 오늘 드디어.. 이제야.. 시작합니다. 지난 학기에 너무 분주해서(쓸데없이 대전이다. 영주다.. 서울이다..오가느라.. ^^;) 아이들과의 시간을 못 맞췄는데.. 아무리 바빠도 이것만은 놓칠 수 없기 때문에.. 오늘 시작합니다. 기도 ...  
3230 하늘 소망을 향해가는 순례자 [1] 1162     2001-10-28
이번주에 우리집이 이사를 했습니다. 이제는 세를 살지 않아도 되는 비록 대출을 했지만 아무튼 우리집으로 이사를 했습니다.이사짐을 싸면서 참 나에게 많은 것들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몇년 살다가 또 다른 곳으로 대학 2학년부터 교직 3년차인 지금...  
3229 존경스러운 김대영 선생님 [1] 1114     2001-10-29
항상 선생님을 뵈면 존경스러워집니다. 저도 선생님의 나이 정도 되었을 때 선생님처럼 할 수 있을까 가끔 생각이 듭니다. 선생님의 열심과 정열, 그리고 시각들 모두 본받고 싶고요 토요일 날 수고하셨습니다. 선생님들의 그런 열정이 불씨가 되어 이 땅의 교...  
3228 전교조 연가 투쟁에 참여하고서... 1074     2001-10-28
26일 20시부터 서울 여의도에서 전국에서 올라오신 선생님들과 더불어 강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을 무릅쓰고 밤샘 농성과 다음 날 오후 4:45분 집회가 끝나기까지 계속한 7차 교육과정 저지와 교육 재정 확보를 위한 국민 대회에 참여했습니다. 이를 위해 ...  
3227 아래 "좋은교사" 콩트에 대한 건 [1] 1014     2001-10-29
"좋은 교사"게시판에 글을 올렸더니 정원종선생님이 사과의 뜻을 밝혔습니다. 저는 공개사과를 요구했습니다. 그분이 "좋은교사" 교사용 성경교재까지 집필하는데 비성경적인 사고방식으로 사고하는 분이라면 그 부분에도 문제가 있겠다싶어서 다음호 "좋은 교...  
3226 Re..예쁜 윤선하선생님! [1] 1301     2001-10-30
아침에 상큼한 글 잘 읽었어요. 그렇게 예쁜 마음,하나님도 기뻐하실것 같구요. 오늘도 아이들과 그렇게 예쁜 마음으로 잘지내는 하루되길... 그냥 반가와서 몇자 적었어요.  
3225 내가 좋아 하는 것 1016     2001-10-29
조금 외롭다 느껴질때 때마침 내리는 비를 좋아한다. 우산을 받쳐들고 한참을 걸어다녀서 적당히 무거워진 내 청바지를 좋아한다. 생각하면 웃음짓게 만드는 기억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흘러간 옛 노래를 좋아한다. 그 노래를 더 듣기 위해서 내려야할 정류소를...  
3224 오랜만에 만난 민선이 1153     2001-10-30
저번주부터 민선이가 며칠째 학교에 오지 않았다. 1학기 때도 한달에 몇번씩은 학교를 결석해서 그 이유를 물어보면 아파서라고 했다. 1학기 때 아이들에게 당신은 사랑받기위해 태어난 사람을 수화로 가르쳐주는데 민선이가 참 잘했다.그래서 어떻게 잘하냐고...  
3223 교육, 그래도 희망은 있다! - 자료집 1094     2001-10-30
지난 10월 27일, 제18회 기독학문학회를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잘 마쳤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미처 참석하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학회 자료집을 판매합니다. 가격은 6,000원이며 신청하실 분들은 dew1981@kornet.net나 02-745-7237(8)로 연락주십시오.(우편...  
3222 지역 대표님들께... 943     2001-10-30
TCF 지역 역사 자료 모집 및 지역 판넬 수련회중 전시 Ⅰ.TCF 지역 역사 자료 모집 1. 과거 지역 모임의 목표 및 방향, 주제 성구 연도별로 있었던 행사 및 대표, 장소등의 변천에 대한 요약 (연혁) 과거 초창기 세워질 때의 모습 초창기 멤버와는 인터뷰 내용 ...  
3221 Re..어제 아이들에게 보여주었어요~^^ [3] 1134     2001-11-01
안그래도 저도 올리고 싶었는데.... 우리반 아이들에게도 보여주었답니다. 어제와 오늘 점심시간과 남는 시간을 이용해서요~ 그리고 레나마리아 수기가 만화로 각색되어 나온 책을 학급문고로 비치해 두었더니 많은 아이들이 읽더군요. 그리고 어제 많은 아이...  
3220 두팔이 없고 한쪽 발이 짧은 레나 마리아의 찬양 [2] 1336     2001-10-31
뉴스와 .. 노래 장면이 있습니다.. 세계적 가스펠 가수.. 두 팔이 없고.. 한쪽 다리가 짧지만.. 아름다운 가수.. 레나 마리아의 찬양을 들어보세여..  
3219 Re..예레미아를 묵상하며-신앙의 다양한 모습 771     2001-11-02
그런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복음 안에 숨어서 사회 문제에 무관심한 경우들을요. 그런 모습에 상처를 받기도 했구요.. '어쩜 저럴 수 있을까?' 그래서 저의 신앙은 한쪽으로 치달았던것 같습니다. (기독교 사회운동으로) 그런데 친구의 대화를 통해서 그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