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미동이 논술 책을 냈습니다. 현장 교사들이기에 그리고 기독교사들이기에 입시 논술 이상의 것을 담기 위해서 노력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삶이겠지요. 삶을 고민하고, 삶을 바라보며, 삶을 실천하는 그런 글쓰기를 추구해봤습니다. 그러면서도 아이들이 고민하는 주제들, 관심있어 하는 주제들을 담아냈습니다.

그동안 깨미동 샘들이 서울신문 등에 기고한 글을 대대적으로 손을 봐서 예쁘게 만들었답니다. 1년 동안 깨미동 선생님들이 난상토론을 하면서 이 책을 내 놓습니다. 앎과 삶이 괴리된 입시 논술이 아닌 아이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며 성숙시키기 위한 저서로 손색이 없으리라 믿습니다. 시원한 사진, 컬러 판형, 재미있는 소재, 명쾌한 논리 전개, 토론주제, 영상까지 포함한 참고자료 등 하나 하나가 아이들을 배려하였습니다. 현장 교사들이 내 놓은 논술서, 사교육시장과 무엇이 다른지 비교해보십시요! (한나래 출판사, 14000원입니다).

이번 겨울 방학 아이들 필독서로 손색이 없을 겁니다. 물론, 수업이나 특기적성 수업때 활용 가능하구요...가능하시면 학교나 동네 도서관에 신청해주시는 것 잊지 말아주세요!! 감사합니다.

--------------------------------<보도자료>------------------------------

지적 자극과 발상의 신선함

숨어 있는 진실을 파악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누구나 사고 훈련을 통해 이런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점이다. 생각의 뉴런을 확장하면서 전혀 다르고 생소한 것을 연결시키고, 기존에 만들어진 사고의 패턴에서 벗어나서 거꾸로 접근해보는 발칙한 상상력을 ≪생각 나무, 논술 열매≫에서 만날 수 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의도로 기획되었다. 첫 번째는 통합적 사고가 무엇인지를 알게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말하는 통합이란, 각 과목 간의 통합뿐 아니라 앎과 삶을 통합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청소년으로서 사회 전반에 벌어지는 일들에 대한 관심을 갖고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세 번째는 청소년 자신에 대한 탐구가 가능하며, 실천적 삶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각 나무, 논술 열매≫는 지적 자극만을 위해 기획된 책은 아니다. 입시와 점수를 위한 논술에 도움이 되는 지식이기보다 따뜻한 가슴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일상에서 작은 실천을 할 수 있는 살아있는 지식을 담기 위해 노력했다. 그런 의도에서 자신이 접근하기 쉬운 주제부터 읽을 수도 있도록 나로부터 가족, 이웃, 사회에 이르기까지 점차 확장된 내용을 다룬다.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선생님들이 쓴 이 책은 청소년이 여러 주제에 대해 다각도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안내하면서 청소년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재미있으면서도 진지하게 사고하도록 돕고 있다. 이 책은 청소년에게 생각의 넓이와 깊이, 방향을 알려주는 지식의 내비게이션이 될 것이다.



이 책의 특징

각 주제별로 청소년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생각 펼치기’를 통해 주제와 관련해 좀 더 스스로 사고하게 하거나 여럿이 토의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책, 영화, TV 프로그램, 웹 등 관련 매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소개하고 있어 주제에 관해 다각적으로 살펴 볼 수 있다.



지은이

강정훈    귀인중 과학 교사. 서강대학교 대학원에서 미디어 교육을 전 공하였으며, EBS에서 미디어  논술 강의를 진행한 바 있다.
김성천   안양 충훈고 교사. 성균관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김태현   안양 백영고 국어 교사. 월간 <좋은교사>에 김태현의 국어 수업을 연재하고 있다.
이강은   서울 인덕공고 컴퓨터 응용 기계 교사. 명지대학교에서 청소년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규철   안양 성문고 국어 교사. EBS에서 고등학교 국어를 강의한 바 있다.
옥성일   서울 용산고 지리 교사. EBS에서 중학 사회를 강의한 바 있다. 이 책에 실린 대부분의 사진을 찍고 편집했다.

최현숙  서울 광신정산고 상업 교사. 서강대학교 대학원에서 미디어 교육을 전공하였다.

저자들은 깨끗한미디어를위한교사운동(이하 깨미동) 소속 회원들이다. 깨미동은 대중 문화와 미디어, 청소년에 관한 주제를 연구함으로써 아이들과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행복한 교실을 꿈꾸는 교사들의 모임이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30여 명의 교사들이 격주마다 모이고 있으며, 연구 성과를 여러 매체에 발표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미디어 교육을 수업과 학급 운영에서 실천하고 있으며, 여러 기관과 모임 등에서 특강을 실시하고 있다. <한겨레>와 <서울신문>에 미디어와 청소년 문화 관련 칼럼을 연재하였으며, 현재 <국민일보>에 칼럼을 연재 중이다. 아름다운 미디어 세상을 꿈꾸며 제도 개선 운동도 함께 벌여 나가고 있다.



주요 내용

‘1부 나를 떠나는 여행’에서는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생각하는 공부, IQ, 외모 등을 다루고 있다. 성적 지상주의로 인해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공부에 대해 좀 더 넓게 바라 볼 것을 제시하고 있다. 공부라는 것은 자연과 인간의 복잡하고 다양한 현상을 개별 학문의 관점과 고유한 언어로 누군가가 정리해 놓은 것을 내가 다시 추적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을 통해 결국 “세상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왜 저런 현상이 발생되었는가,” “나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를 깨닫게 된다. 그런 점에서 공부는 나와 이웃, 세상, 자연을 포함한 삶의 다양한 영역을 탐색하는 과정이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지적 호기심이 채워지고, 앎의 희열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얼굴짱, 얼굴꽝’에서는 얼짱, 몸짱에 열광하는 청소년들에게 진정한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하도록 한다. 자신에 대하여 감사하고, 나를 아끼고 존중하는 태도에서 진정한 아름다움의 에너지가 발산하며, 내가 남과 다른 것 이것이 진정한 아름다움이라고 말한다. 아울러 청소년 시기에 누구나 한번쯤 심각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자살 문제를 다룬 ‘자살 자살 자살……살자,’ 여유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 ‘여유와 속도’ 등이 있다.

‘2부 문화 속의 나’에서는 청소년들이 쉽게 접하는 문화에 대해 다룬다. ‘동물과 함께 행복하기’는 자신의 집 안에 사랑스런 동물이 있는 것도 좋지만, 동물이 살 수 있도록, 초록이 숨 쉬는 자연을 만드는 일이 더 절실한 상황에 이르렀음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화이트데이와 사탕’은 청소년들에게 발렌타이데이, 빼빼로데이 등 여러 상업적 소비 문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볼 것을 제시한다. ‘다르게 보면 세상이 바뀐다’에서는 자신의 주변에 있는 사물들을 뒤집어서 보면 세상이 달라 보일 것이라고 말한다. 눈에 보이는 것만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짙은 것은 바로 경험을 통해 인식의 체계를 구축하기 때문인데, 대개의 경우 이러한 인식은 아집이나 편견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밖에 색이 주는 의미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색이 말을 한다,’ 영화, TV 드라마 등의 내러티브를 살펴보는 ‘이야기에도 공식은 있다?’ 등도 있다.

‘3부 나와 너의 이야기’에서는 미디어를 통해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다. ‘미디어 속 폭력, 무엇이 현실과 다른가’에서는 영화, 만화, TV 프로그램 등에서 그려지는 폭력이 현실 속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지 생각해보게 한다. ‘드라마의 캐릭터 유형’은 드라마 속의 설정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과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 ‘내 삶의 진정한 스타를 찾아서’는 대중 문화 팬층의 상당수를 이루는 청소년들에게 맹목적적인 추종만을 일삼는 팬덤 문화를 다시 생각해 볼 것을 권한다. 이밖에 사랑에 대해 다룬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청소년 소비 문화를 다룬 ‘마시멜로 실험의 비밀,’ 기러기 가족을 통해 가족에 대해 생각해 보는 ‘기러기 가족 날다?’ 인종 차별 문제를 다룬 ‘크레파스를 통해 얻은 두 가지 승리’ 등이 있다.


‘4부 나와 사회’에서는 언론, 리더십, 신뢰, 직업, 기부, 사회 참여 등을 다룬다. ‘신문은 진실만을 말하는가’에서는 수동적으로 언론을 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미디어를 통해 진실을 찾는 안목을 기르길 권한다. ‘리더십에 대한 두 가지 오해’는 리더가 되었다면 조직원들과 하나 되기를 힘쓰고, 조직원이 되었다면 리더가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죄인의 딜레마 게임이 주는 교훈’은 죄인의 딜레마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신뢰에 대해 깊게 생각하도록 한다. ‘드라마 속의 직업과 나의 진로’에서는 ‘무엇이 될까’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떤 무엇이 될 것인가’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밖에 올바른 기부 문화를 다룬 ‘아름다운 1%,’ 사회 참여는 인간이 지닌 고통과 왜곡된 사회 현상에 대해 문제 의식을 갖는데서 시작함을 지적한 ‘세상을 따뜻하게 만드는 힘’ 등이 있다.
    
차례
1부 나를 향해 떠나는 여행
01 나는 왜 공부를 못하는가
02 IQ, EQ, SQ
03 얼굴짱, 얼굴꽝
04 자살 자살 자살……살자
05 여유와 속도

2부 문화 속의 나
06 동물과 함께 행복하기
07 화이트데이와 사탕
08 다르게 보면 세상이 바뀐다
09 색이 말을 한다
10 이야기에도 공식이 있다?
11 내 손안의 환상

3부 나와 너의 이야기
12 미디어 속 폭력, 무엇이 현실과 다른가
13 드라마의 캐릭터 유형
14 내 삶의 진정한 스타를 찾아
15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16 마시멜로 실험의 비밀
17 기러기 가족 날다?
18 크레파스를 통해 얻은 두 가지의 승리

4부 나와 사회
19 신문은 진실만을 말하는가
20 리더십에 대한 두 가지 오해
21 죄인의 딜레마 게임이 주는 교훈
22 드라마 속 직업과 나의 진로
23 아름다운 1%
24 세상을 따뜻하게 만드는 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3278 꽃들에게 희망을(한글판 전문과 영어낭독 영상) 링크 [1] 이상훈 2016-01-13 115823
3277 TCF 사무실 연락처 [3] 2010-01-15 46457
3276 편도가 부었을 때 사용하는 방법 총 정리 [4] 민상욱 2005-09-03 44255
3275 회지를 받던 주소를 변경합니다.^^ 김윤기 2011-05-30 20135
3274 Re..이전에 올린 글은 어디로 갔는지? 전형일 2001-10-12 15429
3273 김주희 샘 결혼 청첩장 file 이정미 2007-11-27 11396
3272 쉼과 풍성한 간식이 있었던 전국리더모임~ [7] file 이지순 2012-10-18 10021
3271 대구주님의교회(이용세목사님) 입당식 [4] 안준길 2012-01-24 9671
3270 기독교사대회 TCF 등록자 명단입니다 [7] 박은철 2004-06-18 7785
3269 게시판을 새로 단장합니다. 전형일 2001-10-10 7343
3268 예수 아름다우신(beautiful saviour) file 이재국 2011-01-03 7238
3267 [좋은교사운동] 제17기 예비기독교사 아카데미 김고운 2011-02-14 6411
3266 48회 겨울수련회(포항) 김형국 목사님 성경강해 첫날 MP3자료 올립니다. [1] 안형진 2011-02-13 6398
3265 '성경 역사 과학' 선교학술 사이트 정식 등록 및 주요 내용 소개 권영법 2012-01-24 6240
3264 100811 3일차 저녁 설교(화종부 목사) file 김창욱 2010-08-12 6148
3263 삼천리 교육원 오시는 길 안내 김덕기 2001-10-10 6142
3262 슬.픔. [5] 손영주 2008-06-02 6036
3261 우리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1] 허현 2011-02-18 5945
3260 '주를 위한 이곳에' [2] file 이재국 2011-05-27 5886
3259 새로운 졸업앨범 [1] file 전형일 2013-04-23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