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교사 서혜미 선생님과 조은하 선생님께서 보내주신 메일 내용입니다.  
...

<그 모습이 나를 겸손히 살라고 가르칩니다.>
여유로운 시간에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선생님
이번 편지에는 저를 말없이 가르쳐 주었던 제자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지금은 고1이 되었을 용원이가 초등 5학년일 때 저는 그의 담임이 되었습니다. '지구의 한 생명체라도 사랑의 존재다'라는 좌우명은 '떠돌이 수의사'라는 그 녀석의 꿈과 많이 닮아 있어 서로를 알기에는 불충분한 학기 초, 말없던 그 아이의 내면을 세밀히 들여다 본 것 같은 인상을 주기에 충분했습니다.
세상의 지식에는 관심이 별로 없어 숫자로 대변되는 평가에서는 두드러지지 못했지만, 자신과 이웃을 대하는 태도는 훌륭함을 넘어서 탁월함의 경지가 돋보였지요. 제가 그로부터 관찰한 탁월함의 경지는 자신과 이웃을 대하는 태도의 일관성이었어요. 그 일관성은 프레드릭 뷰크너가 말한 겸손의 정의에 녹아 있는 힘이었어요. '겸손은 자신을 비하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생각할 때, 다른 사람들을 생각하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이런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힘이 필요할까요? 그것은 자신을 대할 때조차도 거리를 두고 자신을 볼 수 있는 힘인데 그것은 양심과 이성의 역할이 아닐까요?
한 일화가 떠오르네요. 용원이를 가르치던 해에 저는 아이들이 밥과 반찬을 남기지 않도록 지도했어요. 그러던 어느 점심시간 식사를 마친 용원이가 자기 식판을 들고 나오려고 하는데 (물론 깨끗이 비운 채로) 그의 짝꿍이 자기가 먹다 남은 음식물을 용원이의 식판에 쏟아붓는 모습이 순간 포착되었어요. 물론 그 아이는 선생님이 보고 있는 줄 몰랐겠죠. 저는 용원이의 반응이 궁금했어요. '한판 싸움이라도 붙는 것이 아닌가!'라는 걱정은 전혀 하지 않았죠. 저는 용원이를 알고 있었기에…. 그래도 그가 일말의 반응적 분노를 나타낸다면 어떤 모습일까? 이런 것들이 궁금해져서 계속 주시했어요. 그는 내가 알던 그 아이 그대로 차분함을 잃지 않은 채, 친구가 버린 잔반을 처리하러 교탁 앞으로 나오더군요. 저는 그를 떠볼 심산으로 꾸짖었죠. "용원아, 우리 반 잔반 처리 규칙 몰라?" 용원이는 흐트러짐 없는 태도로 차분히 말하더군요. "어, 이거 OO가 남긴 건데요." 용원이가 이성과 양심의 아이가 아니었다면, OO랑 시비가 생기든가, 아님, 저에게 억울함을 호소하던가 했을 텐데, 그냥 담백하게 사실만을 말하는 모습과 만약 제가 물어보지 않았다면 조용히 잔반을 치웠을 모습이 연상되어 기억에서 잊히지가 않나 봅니다.
그의 시 한 편이 다시 저를 돌아보게 합니다. 그리고 겸손히 살라고 가르칩니다.

분실
                                       서 용 원
우산을 잘 잃어버리는 사람,
핸드폰을 잘 잃어버리는 사람,
나의 것을 못 챙긴다고 비웃지 말자.
우리도 가끔씩 이성과 양심을 잃으니까요.     - 서혜미 드림 -

<명언으로 여는 교실>
꿈을 세우라. 그러면 꿈이 당신을 세울 것이다. (로버트 슐러)  
고명한 사람은 고명한 일을 도모하나니 그는 고명한 일에 서리라.(이사야)

얘들아, 혼자 꾸는 꿈은 꿈일 뿐이지만, 함께 꿈을 꾸면 현실이 된다고 해.
위 신문의 칼럼을 보렴. 각자는 육체적 한계로 미소를 지을 수 없지만 함께 무리 지어 미소 짓는 얼굴을 만들 수 있잖아.
아프리카 속담에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까지 가려면 같이 가라'는 말이 있어. 그것은 참 맞는 말인 것 같아.
선생님이 감동스럽게 읽은 백혈병 걸린 아이 이야기, 너희들도 알거야. 친구가 백혈병에 걸려 머리를 빡빡 깎고 학교에 왔을 때, 그 친구의 마음을 배려하여 그 반의 모든 친구들이 머리를 빡빡 깎았지.
그 소년이 어떻게 용기를 다시 얻었을까 상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거야.
우리, 조금 천천히 가더라도 뒤쳐져 있는 친구들을 돌아볼 수 있는 그런 친절한 마음 꼭 지니고 살자.

<성경 여행>
출애굽기 1부 : 하나님은 우리의 길 뿐만 아니라 미래까지도 잘 아시는 안내자

◈퀴즈, 퀴즈
이 세상에 나 혼자 산다면 법이 필요 없겠죠? 자고 싶은 곳에 마음대로 자고, 먹고 싶은 것 꺼내 마음대로 먹어도 제약을 받지 않아요. 그러나 이 세상에는 나 말고 다른 사람들이 있어요. 우리가 함께 잘 살기 위해서는 서로의 의견이 맞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을 때가 더욱 많죠. 그 이유는 우리 모두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그러므로 서로가 잘 살 수 있도록 법을 만들어 지켜 나가죠. 이와 같이 하나님과 함께 잘 살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만들어 주신 법이 들어 있는 성경책이 있어요. 그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출애굽기에요.

◈개요
이름 : Exodus, 탈출, 출발이라는 뜻
기록연대 : BC 1446~1406년
종류 : 모세5경, 역사서
핵심 내용 : 어떻게 하면 참된 하나님의 백성이 될 수 있을까?
(이하 생략)
성경여행-구약3강-출애굽기(1) 프레젠테이션
성경여행-구약3강-출애굽기(1) 아래한글PPT
성경여행-구약3강-출애굽기(1) 학습지

<배움이 더 깊고 넓어집니다.>
놓쳤던 공개강좌, 동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2009년 들어 매월 1회 행복한 수업 만들기 공개강좌가 열리고 있어요.
6월 강좌는 6월 20일(토) 오후 3시부터 8시까지 백석대학교 대학원 목양관 302호(2호선 방배역)에서 열려요.
공개강좌에 참석하기 어려운 분들을 위해 좋은교사운동 홈페이지에 동영상을 올려 두고 있어요.
5월 강좌는 이정미 교수(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연구원)의 “기독교적 수업의 실제”였어요. 동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또, 행복한 수업 만들기 초등 모임에서 5월 25일(월) 개최한 특강, 강영안 교수의 “공교육 현장에서 기독교사는 교과를 어떻게 보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도 동영상으로 만나 보세요.

<데이빗 스미스 교수 초청 기독 영어 교사 워크숍>
데이빗 스미스 교수 초청 기독 영어 교사 워크숍 (Christian English Teachers Workshop with Dr. David Smith)에 좋은교사운동 영어 선생님들을 초대합니다.
1. 일시 : 2009년 6월 13일(토) 오전 10시- 오후 5시
2. 장소: 총신대학교 제1종합관 6층 강의실 (서울시 동작구 사당동 산 31-3)

<핀란드 교장 선생님에게 직접 핀란드 교육 이야기를 들어 봅시다!>
하자센터와 서울시대안교육센터가 주관하고, 서울시가 주최하는 '서울 청소년 창의 서밋' 행사의 하나로 <청소년 진로직업교육회의>가 열립니다. 핀란드 옴니아 직업 학교 유하 페카 사리넨(Juha-Pekka Sarrinen) 교장 선생님을 초청하여 핀란드 직업 교육에 대해 듣고 우리 청소년 진로 직업 교육에 대해 토론한다고 하네요. 핀란드 교육에 궁금하셨던 분들이 참석하면 좋겠어요.
* 일시 : 6월 2일(화) PM 6:30~9:30
* 장소 : 하자센터 999클럽 (2층 대강당)
* 문의 : <배움공방> 02-2677-9200 (내선 160,161)
* 홈페이지 :http://baeumbang.haja.net/zbxe

<초빙 공고>
분당 샘물중학교에서 교사를 초빙하고 있어요.
지역의 22개 교회 목회자들이 이사로 참여하여 함께 운영하는 샘물중학교에서는 샘물중학교(2009년 2월 개교)와 샘물고등학교(2012년 개교)에서 미래를 함께 열어갈 유능한 기독교사들을 모시고자 합니다. 샘물중고등학교는 성경적 세계관을 기초로 한 기독교 교육을 통해 기독교 가정의 자녀들을 ‘섬기는 제자’로 만들어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하나님 나라의 신실한 일꾼으로 길러 내고자 합니다. 저희와 함께 귀한 사역에 헌신하실 선생님들의 많은 지원을 바랍니다.
초빙 과목은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역사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초빙 공고’를 클릭하면 볼 수 있어요.

<일대일 결연 지원해 드려요!>
선생님, 한 아이를 마음에 품고 돌보고 계신가요?
<성과급의 10%는 가난한 아이들과 함께>라는 제안에 많은 선생님들이 참여해 주고 계셔요. 바빠서 아직 참여하지 못하고 계신 분이 계시면 잠깐 시간을 내어 기금을 보내 주세요.
선생님께서 결연한 아이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면 <유스투게더>에 결연 기금을 신청해 주세요. 월 5만 원 정도를 1년 동안 지원해 드려요. 이 기금은 학생이 아닌 선생님께 지급되며, 선생님께서 아이의 사정을 살펴서 급식비, 식료품, 학용품 등 직접 그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하면 되고, 영수증은 별도로 제출하지 않아도 돼요.
결연 기금 신청은 좋은교사운동 홈페이지에서 하실 수 있고, 사회복지법인 <유스투게더>의 황인오 사회복지사에게 연락하셔도 돼요.
황인오 hio5555@naver.com / 043-277-7112~3 / 016-721-7049
조회 수 :
481
추천 수 :
1 / 0
등록일 :
2009.05.30
13:34:22 (*.184.201.226)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8570/ab9/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857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비추천 수 날짜sort
738 남은 자를 위해 기도했으면... [2] 329     2009-05-27
화려한 장례식 후에, 많은 사람들의 이목의 중심에서 벗어난 후에.. 힘들게 살아갈.. 남은 유가족의 삶을 위해 기도했으면 하는 마음이 듭니다. 그림을 그리는 화가들은 전시회를 마치고 자신의 그림을 내릴때, 가장 허전하고 마음이 힘들다고 합니다. 사람들...  
737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을 바라보는 교사로서의 입장 [1] 501     2009-05-27
노무현 대통령 죽음에 대한 국민적인 슬픔을 느끼고 있는 시점에서 죽음에 대한 여러가지 의혹이 제기되고 있고 그에 대한 평가가 억갈리고 있다는 것 또한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독교사로서 교단에서 아이들에게 어떻게 이문제를 가르쳐야 할지 고민해...  
736 봉하에 다녀왔습니다 [1] file 348     2009-05-28
 
735 예배사역에 동참 해 주실 분들을 기다립니다. 341     2009-05-28
현재 우리나라에 각종 중독에 힘들어 하는 사람이 800만 가까이 되는 복지부 공식 통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그 인원이 훨씬 많이 있겠죠! 마약중독,알코올중독,도박중독,성중독,기타중독 등등 중독자들은 많아져만 가고 교회에서는 이들의 마음을 깊이 ...  
734 선생님들 시간이 되시면 한번 쯤 읽어주세요..(참고로 좀 길어요^^;) [5] 757     2009-05-29
안녕하세요^^ 저는 제주 tcf에 박성하라고 합니다. 여기에 글은 처음쓰는데 지금 마음이 설레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밑에 노무현 전 태통령의 죽음의 대한 글을 읽으면서 tcf샘들은 노무현의 정치적 신념과 가치관에 대해 동의하시는 분들이 많으시구나 생...  
733 기독인의 바른 역사의식 [4] 438     2009-05-29
긴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대학때까지 살았던 곳이 부산 북구인지라 그 목사님의 글이 심상치 않게 읽어집니다. 릭조이너, 요즘 제가 주로 읽고 있는 책 중에 그분의 책-하나님의 부르심, 횃불과 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는 예언의 말씀을 멸시치 말라는 ...  
732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을 바라보는 교사로서의 입장 [2] 566     2009-05-29
최진실의 자살과 같다고 할 수 있을까요? 노무현 대통령이 죽음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자신만이 언론에 의한 거짓과 왜곡된 악풀에 시달렸다면 견디어낼 수 있었다고 봅니다. 그의 삶이 그것을 증명하니까요. 이것보다 더 엄청난 독재...  
731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1360     2009-05-30
복음에 대해 묵상하는 중에, 이사야 61장 1절 말씀이 생각이 났습니다. 올해 초에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란 말씀을 묵상했었는데..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자유함이 있는 주말 되시길 기도드립니다..^^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  
» [좋은교사] 배움이 깊어집니다. 오승연 481 1   2009-05-30
좋은교사 서혜미 선생님과 조은하 선생님께서 보내주신 메일 내용입니다. ... <그 모습이 나를 겸손히 살라고 가르칩니다.> 여유로운 시간에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선생님 이번 편지에는 저를 말없이 가르쳐 주었던 제자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지금...  
729 아직도 회개없는 한국교회 [8] 666     2009-05-31
"행복한 미소로 기분좋은 주일되라"는 문자를 받은 주일이지만 가슴 속에 뜨거운 눈물 흐르는 날입니다. 2004년 친정아버지 돌아가셨을때 사두었던 검은색원피스에 흰 자켓을 입고 교회를 다녀왔습니다. 늘 청바지 차림인 제게 저와 친한 어느 집사님이 묻더군...  
728 고 노무현 전대통령에 대한 성서적 이해 419     2009-06-01
아래의 홈페이지에 가시면 김형국 목사님의 설교문이 올라와 있습니다. 김 목사님은 현재 서울 나들목교회에서 목회를 하고 계신데 한때 TCF수련회 주강사 리스트에도 거론되셨던 분이십니다. 언젠가 기회가 되면 TCF수련회에 꼭 한번 모시고 싶은 분이십니다....  
727 또 한번 긴글입니다. 시간나시면 읽어주세요^^ [4] 516     2009-06-02
감사하고 존경하는 tcf선생님들...인사성 멘트가 아니라 정말로 제게는 tcf가 감사하고 많은 것을 배우고 누릴 수 있었던 몸이었습니다. 비록 헌신되어져서 섬기고 있지 못하지만 제 마음 한켠에 tcf에 대한 애정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샘들과 변론...  
726 나 자신을 포함한 한국교회와 성도들을 향한 안타까움 [4] 414     2009-06-02
자살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과 안타까움에 공감을 표합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제가 느끼는 가장 큰 안타까움은 교회가 자기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사회적 지탄의 대상에 종종 오르내리고 있으며, 그러한 원인에 대한 성찰과 자성, 회개로...  
725 보수적, 진보적 그리고 성경적... [4] 679     2009-06-02
요즘 게시판이 뜨겁네요! 왠만해서 다 읽기도 힘들고...ㅋㅋ 박성하 선생님 글은 매번 끝까지 읽기 실패... ㅋㅋ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생님 의견에 동의(?) 하는 편입니다.(역시 팔은 안으로 굽는가?! 같은 '제주' 라고 편들기..ㅋㅋ) 사실 저 역시 고...  
724 [좋은교사] 미래를 선물해요! 432     2009-06-05
좋은교사 서혜미 선생님과 조은하 선생님께서 보내주신 메일 내용입니다. ... <내게 깃든 영혼의 노래 끊이지 않기를> 복음의 기쁨으로 고단한 일상을 살아 내고 계실 선생님께 지난 토요일에는 대전으로 가는 버스를 탔어요. 대전에서 좋은교사운동 실행위원...  
723 하나님 말씀이 희망임을... [1] 496     2009-06-09
제주에 있는 새예루살렘교회(대한기독교 감리교)에서 "말씀학교"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어제 저녁에 잠깐 가서 말씀을 들었는데, 하나님께서 말씀을 통해서 새 힘을 주시네요~^^ 요한 복음 1장 "말씀이 곧 하나님 임"을 다시 한번 깨달으며, 말씀을 정말 ...  
722 자기의 마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낫다고... 1519     2009-06-10
잠언 16장 32절 말씀에 "노하기를 더디하는 자는 용사보다 낫고 자기의 마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나으니라" 우리의 마음을 다스리는 일이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저는 오늘부터 QT 본문 또는 잠언서를 글로 쓰기 시작했답니다 하나님 안에서 ...  
721 [ 아버지 세미나 ] 제3회- 무엇 때문에 자녀는 아버지가 필요한 것인가? 339     2009-06-12
[ 아버지 세미나 ] 제3회- 무엇 때문에 자녀는 아버지가 필요한 것인가? 1. 근원적인 목표의식과 성취의 능력을 만들어 주는 아빠 2. 젖가슴 없는 부모 3. 자율권을 확장하는 아빠 4. 번쩍이는 갑옷을 입은 기사와 같은 아빠 5. 자녀의 윤리와 도덕성 발달 6. ...  
720 축 결혼 인천대표 결혼해요^^ 487     2009-06-12
샬롬^^ 내일 인천 대표인 박승호 선생님과 신부 이남희 선생님의 결혼식이 있습니다. 많이들 축하해 주세요. 좋은날 : 2009년 6월13일 토요일 오후 1시 50분 좋은곳: 부평웨딩홀(채원부체 12층 아이리스홀) 교통안내 - 지하철: 지하철 1호선 부평역 하차 - 분...  
719 AEF대안학교 신입생 모집안내 329     2009-06-12
AEF대안학교 신입생 모집안내 AEF 교육특징 AEF는 학생을 존중합니다. AEF는 학생을 기다려 줍니다. AEF는 학생과 대화 그리고 회의를 통해 함께 결론을 찾고 만들어 갑니다. AEF는 이해 존중 배려의 삶을 원칙으로 합니다. AEF는 마음교육을 통해 믿음을 배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