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809 기독교사 대회 1일차

 

1. 주제특강 1 - 김정태 선생님

주제 : 행복한 관계 만들기

 

야곱의 4번의 하나님과의 만남중 가장 중요한 장면을 꼽는다면 첫 번째 장면...

형을 피해서 도망하다가 벧엘에서 꿈을 통해 야곱에게 나타나셔서 특별한 계시를 주시면서 용기와 담대함을 주셨던 장면...기독 노숙자 대회?

 

내가 초등교사로서 기독교사대회에 설수 있었던 것은 이 기독교사대회의 자리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3대째 과부로 지낸 불도집안에 태어난 어린 아이였다.

뭔가에 홀린듯한 부름에 이끌려 갔던 교회...

그러면서 고등부 수련회에서 은혜를 체험했었다.

그렇지만 가세가 기울면서 고2시절은 절에서 보내게 되었다.

아이러니한 것은 주일에는 교회를 다녔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정체성을 잃으면서 학업도 뒤떨어지고 축구만 하는 아이로 기억되었다.

 

고3 바위에서의 특별한 경험을 통해 마음을 바꾸게되고 놀랄만한 반전을 겪으면서 교대에 입하하게 되었다.

그곳에서의 첫 경험이 바로 나에게 벧엘의 경험이었던 것이다.

 

교대에 들어왔지만 열등감등 여러 가지 상황이 나를 학업에 집중하지 못하게 되었다.

---

 

그러다가 대전지역의 모 학교에 발령을 받게 되었다. 그곳은 나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좋은 환경을 갖추었었다. 그러나 그것도 잠깐...시간이 지나면서 나의 실체를 알고는 돌아서며 나를 왕따로 만들었다. 학생들도, 교사들도.....

너무나 힘든 시간을 보내다가 돌파구를 찾기 위해 TCF수련회를 가게 되었다.

그곳에서 동료선생님의 격려의 말과 이용세 목사님의 도전의 메시지에 도전을 받고 기독교사로 살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2학기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동료교사들과의 관계를 정리하게 하시고, 아이들과의 관계를 회복케하시고, 예전에 기도했던 곳인 경북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두 번째 하나님과의 만남의 시간이라고 할 수 있었던 시기였다.

 

그러고는 경북으로 이동하여 대구, 경산 TCF를 나가게 되고 매년 아이들과도 캠프를 여는 등 열정적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얼떨결에 남부지역(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간사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러던중 2002년 기독교사대회에서 지역간사의 역할에 대한 메시지를 듣게 되면서 낮에는 기독교사, 밤에는 지역 간사의 역할을 감당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8년이란 시간이 지났다. 그런데 최대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 사역에 집중하다가 소중한 것을 잊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힘든 상황중에 충주모임을 다녀오던 길에 받은 문자메세지는 나에게 주는 예언의 말씀으로 다가와서 나를 기도의 자리로 인도하셨고 나를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지역모임을 도우러 갔는데 나는 지역 모임에서 너무나 많은 도움을 받았던 것이다.

 

지금 이 자리에서 기독교사로서의 인생 제 2막을 열고자 한다.

15년동안 경험했던 기독교사로의 모습... 그것을 함께 나누련다.

 

1. 학생들과의 관계

 

제자들을 끝까지 사랑하신 예수님의 모습.

‘끝까지 제자들을 사랑하고 용서하자.’

깜짝 이벤트가 아닌 1년 내내 아이들을 사랑하는 교사로 살자

마지막 시간 아이들 한명 한명을 의자에 앉혀놓고 이야기하고 축복기도를 나눈다.

또 다르게 보여주시는 ‘치유 사역’

아플 때 보건실로 보내면서 기도해주기.

 

2. 관리자분들과의 관계

 

엘빈 토플러는 ‘사회의 변화를 방해하는 조직중 하나가 공립학교조직’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학교혁신을 주장하고 있다.

그런 상황에 우리 기독교사들이 공립학교의 순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교 현장속에서 불합리한 상황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

젊은 시절 나는 벌떡 교사였다. 그렇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그 상황을 두고 기도하고 파악하면서 관리자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고 더 좋은 대안을 찾을 수 있는 공감의 시간을 마련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더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3. 학부모와의 관계

 

현재 상황은 교사들을 좋지 않은 것으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 가운데 쓸 수 있는 몇가지 카드.

 

가. 담임 소개 편지와 책소개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이란 책을 매년 아이들에게 1권씩 나눠준다.

- 문자 메시지

- 전화 응답 방법

- 학교를 방문하는 학부모들에게 책선물로 응답하고 있다.

 

나. 가정방문

가정방문을 통해 지역사회와 학부모의 갈급함을 알게 되었다.

 

[마무리 질문]

 

1. 가장 중요한 수업도구는 무엇일까?

-수업기술, 교과지식, 동료교사와의 관계?

-> ‘가르칠 수 있는 용기’에서는 ‘바로 교사 자신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성급히 교육개혁을 추진하느라, 우리는 단순한 한 가지 진실을 잊는 경우가 많았다.

좋은 가르침은...그 교사의 성실성과 정체성에서 나온다.’

아이들의 아픔을 경험해보고 아파할 수 있는 사람들이 바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은 바로 기독교사 여러분들임을 잊지마시기 바랍니다.

 

2. 좋은 교사 운동은 어디서 시작할까요?

 

어느 특정 한 사람이도 아니고 특정 단체도 아닌 바로 여러분 자신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선생님이 바로 좋은 교사입니다.

 

3. 공교육의 거듭남은 가능한가?

 

개인의 지식이나 능력을 할 수 있는 일이 아님을 인식해야 한다.

동료들과 함께 해야만 기독교사로서 일어날 수 있고 공교육으로 거듭날 수 있는 것이다.

모임을 통해 이 일을 해야한다.

회비만 내는 회원이 아닌 함께 하는 교사로 참여하길 바란다.

 

그렇다면, 이런 단합과 결속이 진정으로 공교육을 거듭나게 할 수 있을까?

 

사실 장담은 할 수없다. 왜냐? 이 일은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도우셔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일을 위해 우리는 이곳에 모였다. 아니, 그 일을 위해 하나님께서 우리를 이곳에 모이게 해주셨다.

 

하나님께서 이미 허락하신 것을 이루기 위한 것이 이곳에 모인 이유인것이요. 목적인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2798 100809 1일차 저녁 설교-화종부 목사 file 김창욱 2010-08-11 3236
» 100809 기독교사 대회 1일차-1. 주제특강 1 - 김정태 선생님 file 김창욱 2010-08-11 1105
2796 8월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김숙현 2010-08-06 1069
2795 2010 기독교사대회 참가자 준비물 file 오승연 2010-08-04 1978
2794 TCF축구대표팀 출전선수 명단! [8] 김정태 2010-08-04 1730
2793 기독교사대회를 위한 중보기도2 오승연 2010-08-04 953
2792 2010 기독교사대회를 위한 중보기도.. 오승연 2010-08-03 977
2791 잠언 13장 24절에 대한 이야기... [1] 오흥철 2010-07-29 5010
2790 열매 공동체 1박 캠프를 위해 기도부탁드립니다. [3] 김동준 2010-07-29 967
2789 기독교사대회 월요일 저녁이나 화요일에 출발하시는 분 있나요? [1] 이상훈 2010-07-18 1369
2788 초등 6학년 담임선생님들! 고생 많으셨죠? [1] 김정태 2010-07-12 1459
2787 [좋은교사] 2010기독교사대회를 위해 중보기도해요~^^ 오승연 2010-07-09 1181
2786 씁쓸한 사진 한 장... [5] file 현유진 2010-06-29 1632
2785 제주관광정보.. 참고하세요~^^ [4] file 오승연 2010-06-29 2760
2784 EBS 다큐프라임 십대성장보고서 추천합니다. [2] 김선영 2010-06-29 1272
2783 2010 기독교사대회 장소를 미리 다녀와서..^^ [1] 오승연 2010-06-29 1050
2782 대구경북 1박캠프 기획안 [2] file 권미진 2010-06-21 1036
2781 특별한 TCF모임-전국에서 모인^^ [14] file 강영희 2010-06-06 2000
2780 이번 지방선거 놀랍지 않나요? [3] 김정태 2010-06-04 1602
2779 초등학생들 사용가능한 국어사전을 찾고 있습니다. 방준범 2010-06-03 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