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좋은교사 사무실의 서헌희 간사입니다.

요즘 64개강좌 96명의 강사들에게 강사카드나 강의계획서, 강의안을 접수받는 중인데, 이를 돕고 강좌도우미 선발 및  각종 문의와 안내를 맡을 연수실무진(수도권 지역 10여분 선생님-강영희,윤남석 샘 포함)들을 이미 추천받아 모임을 가질 예정입니다.

부탁이 있어 글을 남깁니다.

학교복음화 사역에 있어 좋은교사 연합 차원에서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일들을 몇가지 추진하고 있는데요, 단체별 2006학교사역 현황보고서, 신우회 개척과 운영 메뉴얼1, 학교사역 돌파를 위한 수평적 기독학생동아리 운동 준비, 좋은교사운동의 학교복음화 로드맵 작성, 좋은교사 저널을 통한 학생양육교재 연재, 학교사역 자료실 오픈, 학교사역 관련 법적 대응책 마련, 학교사역 활성화을 위한 청소년 및 학원선교단체 연대포럼 개최 등입니다.

특히 각 단체별로 학교사역의 현황과 강약점을 파악하여 정리하는 게 필요합니다.
각 단체의 장점을 서로 나눠 가지며, 약점은 서로에게 배워 보완하는 것이 연합의 존재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에 제시된 설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달아주시기를 기다립니다.  짤막한 의견이라도 '모사가 많으면 경영이 성립할 것(잠 15:22)' 같습니다.

1번. TCF가 다른 교사단체와 구별되는 장점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며, 이것이 선생님의 학교복음화 사역에 어떤 영향을 주십니까?

2번.  TCF가 학교복음화 사역의 확산을 위해 다른 교사단체에게 조언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사역의 아이디어나 강조점은 어떤 것일까요?

3번.  TCF는 학교복음화 사역의 다음 영역 중 특히 무엇을 잘 감당하며, 그 비결은 무엇입니까?
① 학교신우회를 통한 교사 전도 및 양육, 학교문화 개선
② 기독학생반(동아리)을 통한 학생 전도 양육 및 학교문화 개선
③ 학교내 학생 1:1 또는 소그룹모임(성경공부/큐티/제자훈련/기도/예배)을 통한 학생 전도 양육
④ 학교내 교사 1:1 또는 소그룹모임(성경공부/큐티/제자훈련/기도/예배)을 통한 교사 전도 양육
⑤ 지역 기독교사모임 연결 및 초대를 통한 교사 세우기와 양육
⑥ 학교 상담실을(개인상담실)통한 상담 및 개인 전도
⑦ 예비교사 세움을 통한 도전 및 양육
⑧ MK 사역을 통한 선교
⑨ 기타(          )

4번. 매달 발간되는 좋은교사 저널을 학교사역에 어떻게 활용하고 계십니까? [객+주]
① 신우회 성경공부 교재로 이용
② 기독학생반 활동사례 참조
③ 기독교사로서의 은혜와 재충전
④ 학교사역에는 별로 참조할게 없다
* 학교사역을 위해 저널에는 (         )같은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
* 향후 학생 양육 성경공부 교재는 게재할 예정임


5번. 학교복음화 사역을 위해 '좋은교사운동' 연합 차원에서 해야 한다고 기대되는 일은 무엇입니까?
특히 각 단체에게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6번. 최근  TCF에서 학교복음화 사역과 관련하여 힘들어하는 부분이 있거나 새로 계획중인 부분은 무엇입니까?


사랑하는 마음으로 관심을 갖고 답을 주셔야 전체 좋은교사운동이 힘을 받을 것이니, 꼭 짤막하게라도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조회 수 :
424
등록일 :
2006.05.24
12:35:37 (*.112.148.83)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5642/c98/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5642

김정태

2006.05.24
18:23:48
(*.115.248.141)
어려워서 일단 5번과 6번만 하면...
얼마전 학교에서 성경읽기모임을 하다 교장,감 선생님들의 반감을 샀습니다. 법에 위배 된다느니... 공립학교는 종교중립적이어야 한다느니... 학교복음화사역이 가능한 법적 조항과 타당성있는 논리들을 정리해 주시면 좋겠어요.

전형일

2006.05.25
10:16:26
(*.1.13.46)
1. 말씀연구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실천하고자 합니다. 사람을 변화시키는 데 관심을 갖습니다.
3. ⑤ 지역 기독교사모임 연결 및 초대를 통한 교사 세우기와 양육
4. 신우회에서 성경공부 및 기도회때 활용
5. 김정태 선생님과 동의
6. 최근 가정방문이나 학교내 사역에 제동을 거는 관리자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선생님들이 계시네요. TCF에서도 어린이 캠프(청소년캠프)등을 통해 제자양육 사역을 하려고 노력중입니다.

김정태

2006.05.25
12:23:34
(*.242.29.147)
1번, TCF의 장점... 역동적인 교사지역모임을 기반으로 동료교사를 초대할 수 있고 학생전도캠프와 같은 복음사역을 펼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그같은 학교복음화 사역이 단체의 구조적인 강요나 강압이 아닌 각 지역교사들의 자발적인 헌신과 결단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TCF의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가능한 교사들의 자발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사역이 진행되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뎌보이고 열매가 많지 않은 것 같지만 결국에는 이것이 하나님의 사람, 기독교사 한사람을 키워내는 바른 길-정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바로 이점이 다른 교사단체들에게는 부족한(?) TCF의 장점이라고 생각하구요. 학교복음화 사역 역시 이런 맥락에서 추진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회사나 지금의 학교에서 기업혁신, 학교혁신 하듯이 캠페인이나 프로젝트 실행과 같은 마인드, 강력한 위로부터의 개혁은 우리같은 교사단체들에게 있어서는 오히려 기독교사들의 자발성을 해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최대한 그들의 자발성을 살려주는 한도 안에서의 줄수 있는 조력점을 찾아야 겠지요.

2번, 복음전도는 사업이나 프로젝트 실행이 아닙니다. 복음전도는 또 하나의 친구를 얻고 가족을 얻는 일, 끊어진 관계를 맺어가는 것입니다. TCF에 그런 마인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도하면서 교사자신이 자라가야 하고 캠프를 진행하는 교사들이 학생들보다 더 은혜를 누리면서 함께 즐겨야 한다는 마인드. 학생들과 함께 전도성경공부나 전도캠프를 열지만 알고보면 더많은 유익을 누리는 것이 학생들이 아닌 교사 자신이라는 마인드...이것이 꼭 우리단체의 것만은 아니지만 TCF에 보다 많이 있는 마인드라 생각하구요 다른 단체들도 교사모임이나 학교복음화 사역에 있어서 꼭 갖추어야 할 마인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1918 호나우딩요 [5] 김정태 2006-06-12 352
1917 밭에 감추인 보화 [4] 김정태 2006-06-12 569
1916 기도로 함께 해주세요. [2] 강영희 2006-06-08 392
1915 권미영 선생님 최근 근황 [1] file 안미정 2006-06-05 487
1914 6월 7일 : 짜장면에 우유를 말아 먹든지 말든지... [3] 송인수 2006-06-01 531
1913 예비기독교사 아카데미가 이제 마무리됩니다. [1] 김성천 2006-05-30 669
1912 강월미 선생님 오늘 결혼하셨습니다. ^^ [7] file 김태영 2006-05-27 1250
1911 주윤이와 돈 이야기 [4] 강영희 2006-05-26 628
1910 [부산모임] "컵타공연"을 소개합니다.^^ [7] 김태영 2006-05-25 687
» TCF선생님들께 부탁드립니다~ [3] 서헌희 2006-05-24 424
1908 기독교사대회 2차 등록 마감일 [1] 손지원 2006-05-20 343
1907 부교재 채택 관련 제보를 받습니다 서헌희 2006-05-18 392
1906 (가정방문보다 쉬운) 일대일결연 [4] 강영희 2006-05-17 431
1905 한광우&강현진 샘 결혼 알려드려요~ [5] file 김하진 2006-05-16 3968
1904 무거운 마음으로 [2] 안준길 2006-05-16 483
1903 [MK NEST] MK 둥지캠프 안내입니다. 이현충 2006-05-16 574
1902 저기 죄송한데요^^ [1] 김덕수 2006-05-15 403
1901 ^^ 꿈같아요 [8] 정영희 2006-05-15 392
1900 리더모임 단체사진 올렸습니다. [4] 손지원 2006-05-14 358
1899 잘 도착하셨나요? [5] 김정태 2006-05-13 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