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과 안타까움에 공감을 표합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제가 느끼는 가장 큰 안타까움은 교회가 자기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사회적 지탄의 대상에 종종 오르내리고 있으며, 그러한 원인에 대한 성찰과 자성, 회개로 나아가지 못하고,  다수의 교회가 공격적으로 대응하고, 세력간의 싸움이라는 그림 속에 안주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여전히 역사와 세상의 주인이요, 주관자는 하나님이시고, 악의 세력이 확장되고 있어도 이는 다를 바 없습니다. 그러나 교회가 몸담고 있는 세상 속에서 공격받고 비난에 처할 때 우리는 그 원인이 우리에게 있는것은 아닌지, 교회의 죄때문은 아닌지 성찰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요소는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교회와 성도(?)들이 부동산,돈,이익 등의 부의 문제에 빠져있고, 자녀교육이 절대적 우상처럼 우선시되고 있으며, 다수의 교회는 성장으로 포장된 성공과 명예, 권력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교회가 사회에대해 희생하려 하지 않고, 오히려 교회의 것을 지키려는 모습으로인해 이미 사회속에서 천덕꾸러기화 되고 있지는 않은지요

과연 교회의 이러한 죄가 자살 등의 죄보다 가벼운 것입니까? 교회는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우리의 중심을 변질시키는) 이러한 죄를 자각하며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까? 교회의 목소리는 죄에 대한 이중잣대를 근거로 남의 티를 지적하며 내 속의 들보는 보지 못하는 것에서 나오는 것 아닙니까? 성도와 교회가 죄에 대해서 내것과 남의것에 대해 다르게 적용하는 이중잣대를, 스스로 느끼지 못할 정도로 당연시하고 있다면 얼마나 심각한 문제입니까?
교회가 하나님의 진노를 긍휼로 돌이키시게 하는 의인들이어야 하는데, 행여나 교회의 모습이 심판의 동기와 원인이 된다면 이 얼마나 감당할 수 없는 두려움과 슬픔이 되겠습니까?

평양부흥 100주년이어서가 아니라, 우리의 모습이 너무나 죄악되고 처절하기에 회개하고, 치료와 부흥을 사모하는 한국교회 그리고 저 자신이 되기를 주님앞에 소망합니다.
조회 수 :
414
추천 수 :
2 / 0
등록일 :
2009.06.02
09:19:06 (*.241.50.130)
엮인글 :
http://www.tcf.or.kr/xe/freeboard/108581/b09/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tcf.or.kr/xe/108581

강영희

2009.06.02
09:33:32
(*.42.251.5)
..저는 고민하는 것들 편히 맘 나눌곳 없어 요즘 tcf에 계속 들어오네요, 힘들때 고민스러울때는 "역시 TCF다"생각하지요..함께 기도합니다...이렇게 한 맘으로 기도할수 있어서 감사하네요..

김정태

2009.06.02
11:25:40
(*.242.29.147)
안타깝지만... 이게 우리의 모습이란 것을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주님!
그렇습니다. 성공, 명예, 권력, 돈, 학벌에 찌들어 하나님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게 지금 우리 모습입니다. 인정합니다.
기독교 100 여년 역사 속에서 우리가 갖게 된 것들이 너무 좋아서
하나님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주의 말씀이 들리지 않습니다.
용서하소서~ 살려 주소서~
우리 닫힌 눈을 열어주시고, 우리 막힌 귀를 뚫어주셔서
하나님을 보게 하여 주소서~ "

손영주

2009.06.02
12:20:17
(*.29.207.66)
마음을 겸비하여 기도하며 우리의 죄악과 허물을 먼저 자복하고 회개해요. 그리고 원수도 사랑하며 축복하라신 예수께서 우리의 주님이시니 우리는 그 제자이시니 우린 그분의 가르침에 따라 세상을 이해하며 축복하며 예수그리스도께서 임금이요 구주로 삼으신 하나님을 아는 지식에 따라 우리삶을 십자가앞에 내려놓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주님앞에 우리 마음을 살펴주시기를 함께 기도해요. 금식을 선포해도 좋구요...

박성하

2009.06.02
13:52:35
(*.230.164.2)
저 또한 자살이란 문제가 교회안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 생각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 집요하게 문제제기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눈으로 짓는죄, 손으로 짓는죄, 발로 짓는 죄 모든 것이 우리를 지옥으로 끌고 갈 수 있다는 맥락에서는 크고 작고한 죄가 없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막5장) 그러나 죄의 책무성에 비추어 보면 분명 중한죄, 경한죄가 성경적으로도 있고 당연히 민법적으로도 있습니다. 따라서 과연 교회의 이러한 죄가 자살 등의 죄보다 가벼운 것입니까? 물으시면 ‘네’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살인자도, 간음자도 부패한 정치인도 그가 진심으로 회개하고 죄를 끊고 주님앞에 나오면 일곱 번씩 일흔번이라도 용서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경에서는 용서받지 못하는 죄도 있습니다.

첫째 성령을 모독하는 죄[마 12:31],

둘째 한 번 빛을 받고 하늘의 은사를 맛보고 성령에 참여한 바 되고 하나님의 선한 말씀과 내세의 능력을 맛보고도 타락한 자들은 다시 새롭게 하여 회개하게 할 수 없나니[히6:4~6]

세 번째는 자살은 용서 받을 수 없는 죄는 아니나 용서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자살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자살은 심각한 죄악 중 하나입니다.
하나님은 불의한 죄인에 대한 호의와 긍휼이 기본적으로 시간으로 제공되어 집니다. [베후 3:9] 그러나 자살이라는 것은 그런 하나님의 호의와 긍휼을 원천적으로 거절하는 중대한 죄악입니다. 물론 저도 이런 자살에 대한 강한 어조로 인해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는 많은 죄악들이 간과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물신숭배, 쾌락주의, 저급한 신앙주의, 다원주의등 오늘날의 교회는 회개하고 돌이켜야 할 죄가 한 두가지 아닙니다. 저또한 예외가 될 수 없구요... 그러나 제가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자살이라는 것이 인과론적인 접근과 인간적인 온정주의에 의해 그 죄악의 실상이 흐려지는 것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선생님의 의견과 논조를 몰라서 댓글을 다는 것은 아닙니다. 선생님을 말씀에 공감하고 우리 모두 주님 앞에 회개하며 긍휼을 구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선생님을 예수님이름 으로 축복합니다.^^
주님 우리의 죄악을 성령의 불로 태우시고 이 나라를 돌아보아 주소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2558 축 결혼 인천대표 결혼해요^^ 최영철 2009-06-12 487
2557 [ 아버지 세미나 ] 제3회- 무엇 때문에 자녀는 아버지가 필요한 것인가? 연구소 2009-06-12 339
2556 자기의 마음을 다스리는 자는 성을 빼앗는 자보다 낫다고... 오승연 2009-06-10 1519
2555 하나님 말씀이 희망임을... [1] 오승연 2009-06-09 496
2554 [좋은교사] 미래를 선물해요! 오승연 2009-06-05 432
2553 보수적, 진보적 그리고 성경적... [4] 현승호 2009-06-02 679
2552 또 한번 긴글입니다. 시간나시면 읽어주세요^^ [4] 박성하 2009-06-02 516
» 나 자신을 포함한 한국교회와 성도들을 향한 안타까움 [4] 이현래 2009-06-02 414
2550 고 노무현 전대통령에 대한 성서적 이해 김정태 2009-06-01 419
2549 아직도 회개없는 한국교회 [8] 강영희 2009-05-31 666
2548 [좋은교사] 배움이 깊어집니다. 오승연 2009-05-30 480
2547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오승연 2009-05-30 1360
2546 선생님들 시간이 되시면 한번 쯤 읽어주세요..(참고로 좀 길어요^^;) [5] 박성하 2009-05-29 757
2545 기독인의 바른 역사의식 [4] 김정태 2009-05-29 438
2544 예배사역에 동참 해 주실 분들을 기다립니다. 연구소 2009-05-28 341
2543 봉하에 다녀왔습니다 [1] file 류주욱 2009-05-28 348
2542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을 바라보는 교사로서의 입장 [1] 박승호 2009-05-27 501
2541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을 바라보는 교사로서의 입장 [2] 허현 2009-05-29 566
2540 남은 자를 위해 기도했으면... [2] 오승연 2009-05-27 329
2539 골방 기도를 하시는 선생님들 덕분에... [1] 오승연 2009-05-26 368